본문 바로가기
일상/건강

생강과 생강차의 효능

by 우미미미미 2022. 4. 23.
반응형

생강

생강은 새앙, 새양이라고 하는 뿌리 채소로 생강의 뿌리 줄기는 옆으로 퍼져나가며 자라고 감자같은 덩어리 모양으로 뭉쳐 성장합니다. 생강은 한국에서도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로 충남과, 경북, 전북 지역에서 생강이 많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동인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는 생강은 특유의 매운맛으로 외국에서는 가루를 내어 향신료로 사용하거나 하는데, 우리나라는 향신료 보다는 기관지에 좋다고 많이 알려져 생강차로 우려 마시는 경우가 많죠. 생강은 대추와 궁합이 잘 맞기 때문에 생강차로 드실 때에는 대추를 몇 개 함께 넣어주면 위를 보호해 주는 효과 또한 있다고 합니다.

생강

 Q. 생강에도 꽃이 있다?

생강은 흔히 수퍼나 야채가게에서 팔고 있어 많이 보았지만 생강 꽃은 본 기억이 없는데요. 생강꽃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생강꽃

생강꽃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생강꽃은 빨간색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의 다른 꽃과는 다소 다른 생김새를 하고 있는데요. 생강꽃은 길다랗게 줄기가 올라오면서 아스파라거스 싹 같이 생긴 모양을 하고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그 아스파라거스 싹 같이 생긴 부분이서 꽃잎이 벌어지면서 꽃이 나온다고 합니다. 기온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는 생강 꽃이 잘 피지 않는다고 하니 볼일이 많이 없다고 하네요. 기온이 많이 높은 더운 나라에서는 저렇게 빨갛게 피는 생강꽃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생강나무 꽃

생강나무와 생강

생강꽃으로 검색하면 나오는 생강나무의 꽃은 생강의 꽃이 아닌 생강나무의 꽃입니다. 여태까지 생강나무의 꽃이 노란색으로 생각하지 않으셨나요? 혹 그러셨다면 바로 생강나무의 꽃을 생강꽃이라고 생각하신 건데요. 생강나무의 꽃은 동글 동글하면서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생강나무는 산수유와도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있어 산수유 나무와 자주 헷갈리는 나무 중 하나인데요. 산수유 나무의 경우 마을 곳곳에 흔히 자라는 나무인데 반해 생강 나무는 사람이 없는 산 속에서 주로 자생하는 나무라고 합니다. 생강나무는 먹는 생강과는 관련도 없는데 왜 생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느냐 하면, 생강나무의 줄기나 잎에 상처를 내어 그 즙이 나올 경우 생강과 같은 진한 향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사람에 따라 생강 냄새가 아닌 물파스 냄새라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는데, 어찌됐든 생강과 물파스에 비교될 만큼 강한 향을 내는 나무가 생강나무입니다.

<생강의 효능과 함께 읽는 식재료>

[일상/건강] - 부추 효능 부작용

생강의 효능

생강의 효능은 먼 고려시대 문헌에서부터 등장하는데요. 고려시대에 쓰여진 '향약구급방' 에는 생강이 약용 식물 중 하나로 쓰여져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생강의 뿌리 줄기를 말린 것을 주로 약재로 사용하는데요. 생강에는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효능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생강 효능

생강 효능 정리

  1. 감기로 인한 오한에 효능
  2. 두통과 발열에 효능
  3.  가래를 삭히는데 도움
  4. 기침에 효능
  5. 소화력 증진
  6. 혈액순환 촉진
  7. 세균을 억제하고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균 효과
  8. 복통 설사에 효능

이렇듯 생강은 여러 효능을 가지고 있는데요. 생강에 함유된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좋은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생강에는 기본적으로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이 찬 사람이 섭취하면 몸의 찬 기운을 내보내주고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시켜 주는데 효과적인데요. 생강은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내보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동맥 경화 등의 혈관 질환을 예방해주는 효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생강은 멀미와 구토에도 효능이 있어, 멀미약 보다 2배 이상 높은 멀미 개선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강 먹는법 , 생강 요리

생강은 주로 생강차나 생강절편으로 많이 먹는데요. 다져서 넣을 경우 여러 양념에 좋은 감칠맛을 내어 주는 역할도 합니다. 특히 고기와 생강은 잘 어울리는데요.

대표적인 생강을 넣은 고기 요리는 일본의 しょうがやき(쇼가야키) 가 있습니다. しょうがやき는 생강을 넣은 고기 요리로 우리 나라의 양념돼지고기와 같은 맛을 내는 요리인데요. 생강을 듬뿍 넣어 돼지 잡내를 잡고 생강향이 입안에 퍼지는 돼지 요리입니다. 일본의 생강 요리는 쇼가 야키와 베니쇼가 정도가 가장 유명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생강차와 김치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 같네요. 김치에도 다진 생강을 넣으면, 김치가 익어도 풋내가 안나고 감칠맛이 더해져 신김치가 되어도 끝까지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서양의 생강요리는 진저쿠키라고 하여 생강을 넣은 쿠키를 만들어 먹거나 레몬과 시나몬 등을 곁들여 차로 즐겨 마시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레몬 생강청등이 나와 레몬 생강차로 많이 마시는데요. 레몬의 상큼한 맛이 생강의 매운 맛을 줄여주어 더욱 마시기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 

 

 

<생강과 함께 목에 좋은 음식들>

 

[일상/건강] - 레몬청 만드는 법

 

[일상/건강] - 유자 효능 유자차

 

[일상/건강] - 산도라지 효능 먹는법

반응형

댓글